(→참고자료) |
(→참고자료) |
||
(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) | |||
1번째 줄: | 1번째 줄: | ||
[[분류:프로젝트]] | [[분류:프로젝트]] | ||
− | == | + | == 프로젝트 제안배경 == |
− | == | + | * 예능 프로그램(집사부일체)에서 분리배출 테스트를 하는데 너무 복잡하고 어렵네요.(이불, CD, 우산, 알약 등등) |
+ | ** 인터넷 구매가 너무 쉬워지다보니 물건을 사는거보다 오히려 버리는게 어려워진 세상이 된게 아닌가 싶습니다. | ||
+ | * 강사로 나온 타일러는 이런 말을 하는군요. | ||
+ | ** 아예 못버리게끔 만들어진거 같지 않나요? | ||
+ | ** 분리수거를 제대로 할 수 없게 제품을 만들고 있어요. | ||
+ | ** 분노를 할 필요가 있는거 같아요. 화가 나야 돼요. | ||
+ | ** 제도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문제라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요. | ||
+ | ** 개인이 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? 구매권이에요. | ||
+ | ** 우리의 선택이 환경에 직접 영향을 끼치도록 소비자로서의 구매권을 행사할 때, 세상을 바꿀 수가 있어요. | ||
+ | * 우리가 집에서 플라스틱을 분리배출하면 재활용 선별장으로 가게 됩니다. | ||
+ | ** 컨베이어 벨트에서 사람이 직접 재활용이 명확하게 가능한 것들만 골라내는 구조 입니다. | ||
+ | ** 이 과정에서 자동으로 분류를 해준다면 가장 좋을텐데 당장은 어려운거 같습니다. | ||
+ | ** 결국 생산 단계에서부터 잘 버릴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상황입니다. | ||
+ | * 한명의 구매권은 미미하지만 그것을 모을 수 있다면 큰 힘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제안하게 됐습니다. | ||
+ | |||
+ | == 기본 아이디어 == | ||
+ | * 개인의 분리배출을 돕기 위해, 각각의 제품의 분리배출하는 방법을 컨텐츠를 활용해서 쉽게 안내하고자 합니다. | ||
+ | * 개별 제품들의 바코드(gs1kr.org)는 제품별로 유일하니 이를 이용해서 버리는 방법에 대한 컨텐츠를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. | ||
+ | ** (예) 바코드를 스마트폰 카메라로 인식 → 영상 재생 | ||
+ | * 개별 제품에 대한 친환경 지표(?), 친환경 마크 획득 여부 등에 시민들의 평가와 참여가 필요합니다. | ||
+ | ** 친환경적으로 만들어진 제품은 그 제품의 제조하는 방식이 널리 전파되도록 하고, | ||
+ | ** 버리기 어렵게 만들어진 제품은 그 제품 생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되돌아가게 해야됩니다. | ||
+ | ** 해당 제품군의 친환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환경단체나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거나 또는 정부나 환경단체 등의 컨텐츠의 활용이 필요할거 같습니다. | ||
+ | |||
== 내용 == | == 내용 == | ||
== 기타 == | == 기타 == | ||
== 참고자료 == | == 참고자료 == | ||
− | * 집사부일체 : https://m.tv.naver.com/v/15981324/list/640563 | + | * 집사부일체(타일러 라쉬의 소비자 구매권 행사에 대한 필요성 설명) : https://m.tv.naver.com/v/15981324/list/640563 |
+ | * "똥휴지, 생리대 치우다 쥐 열댓 마리가…" 어느 환경미화원의 고충, 머니투데이(기사보다는 리플) : 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08/0004503285 | ||
+ | * 햇반, 너마저 재활용 불가..나는 왜 열심히 씻은 거니?, 한겨레 : https://news.v.daum.net/v/20201126113606472 | ||
+ | * 1년 모은 플라스틱 병뚜껑, 재활용이 될까요? 도와줘요 쓰레기박사(플라스틱 분리배출 과정 설명) : https://youtu.be/ZmWJBL1Cc8c | ||
+ | * 빨대/병뚜껑 수거함, 지구지킴이 쓰담쓰담 : https://www.instagram.com/p/CH4MLNrpsKT/?igshid=ioiid369pdh4 | ||
+ | * 마스크 재활용 사례, 스브스뉴스 : https://youtu.be/j4CZ4vIDwKE | ||
+ | * 생분해 생수 용기 : https://1boon.kakao.com/thevivid/5fbe3feec495507b86613831 |
2020년 11월 27일 (금) 18:52 기준 최신판
1 프로젝트 제안배경
- 예능 프로그램(집사부일체)에서 분리배출 테스트를 하는데 너무 복잡하고 어렵네요.(이불, CD, 우산, 알약 등등)
- 인터넷 구매가 너무 쉬워지다보니 물건을 사는거보다 오히려 버리는게 어려워진 세상이 된게 아닌가 싶습니다.
- 강사로 나온 타일러는 이런 말을 하는군요.
- 아예 못버리게끔 만들어진거 같지 않나요?
- 분리수거를 제대로 할 수 없게 제품을 만들고 있어요.
- 분노를 할 필요가 있는거 같아요. 화가 나야 돼요.
- 제도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문제라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요.
- 개인이 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? 구매권이에요.
- 우리의 선택이 환경에 직접 영향을 끼치도록 소비자로서의 구매권을 행사할 때, 세상을 바꿀 수가 있어요.
- 우리가 집에서 플라스틱을 분리배출하면 재활용 선별장으로 가게 됩니다.
- 컨베이어 벨트에서 사람이 직접 재활용이 명확하게 가능한 것들만 골라내는 구조 입니다.
- 이 과정에서 자동으로 분류를 해준다면 가장 좋을텐데 당장은 어려운거 같습니다.
- 결국 생산 단계에서부터 잘 버릴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상황입니다.
- 한명의 구매권은 미미하지만 그것을 모을 수 있다면 큰 힘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제안하게 됐습니다.
2 기본 아이디어
- 개인의 분리배출을 돕기 위해, 각각의 제품의 분리배출하는 방법을 컨텐츠를 활용해서 쉽게 안내하고자 합니다.
- 개별 제품들의 바코드(gs1kr.org)는 제품별로 유일하니 이를 이용해서 버리는 방법에 대한 컨텐츠를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.
- (예) 바코드를 스마트폰 카메라로 인식 → 영상 재생
- 개별 제품에 대한 친환경 지표(?), 친환경 마크 획득 여부 등에 시민들의 평가와 참여가 필요합니다.
- 친환경적으로 만들어진 제품은 그 제품의 제조하는 방식이 널리 전파되도록 하고,
- 버리기 어렵게 만들어진 제품은 그 제품 생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되돌아가게 해야됩니다.
- 해당 제품군의 친환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환경단체나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거나 또는 정부나 환경단체 등의 컨텐츠의 활용이 필요할거 같습니다.
3 내용
4 기타
5 참고자료
- 집사부일체(타일러 라쉬의 소비자 구매권 행사에 대한 필요성 설명) : https://m.tv.naver.com/v/15981324/list/640563
- "똥휴지, 생리대 치우다 쥐 열댓 마리가…" 어느 환경미화원의 고충, 머니투데이(기사보다는 리플) : 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08/0004503285
- 햇반, 너마저 재활용 불가..나는 왜 열심히 씻은 거니?, 한겨레 : https://news.v.daum.net/v/20201126113606472
- 1년 모은 플라스틱 병뚜껑, 재활용이 될까요? 도와줘요 쓰레기박사(플라스틱 분리배출 과정 설명) : https://youtu.be/ZmWJBL1Cc8c
- 빨대/병뚜껑 수거함, 지구지킴이 쓰담쓰담 : https://www.instagram.com/p/CH4MLNrpsKT/?igshid=ioiid369pdh4
- 마스크 재활용 사례, 스브스뉴스 : https://youtu.be/j4CZ4vIDwKE
- 생분해 생수 용기 : https://1boon.kakao.com/thevivid/5fbe3feec495507b86613831